1 minute read

Linux의 디렉터리들의 종류와 기능

image
리눅스의 최상위디렉토리 / 위에는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렉터리들이 있다.

  • / : 최상위에 있는 디렉터리로 루트(root) 디렉터리라고 한다.
  • /bin : binary의 약자로 여러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다.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명령어라는 것들이(cp, mkdir, rmdir, mv, rm, cat 등) 들어있는 디렉터리로 PATH가 설정되어 있다.
  • /boot :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등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다.
  • /dev : 하드디스크, CD-ROM, 터미널 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 등을 파일화 하여 관리하는 디렉터리다.
  • /etc :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스크립트 파일들이 들어있다. 이들 파일에 설정된 내용을 읽어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.
  • /home : 개인 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사용 할 수 있는 홈 디렉터리가 위치한다. image
  • /lib :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로 커널 모듈도 이 디렉터리에 들어있다. CentOS 7 버전 같은경우 64비트 기반이므로 이 디렉터리에는 32비트의 라이브러리들이 들어간다.
  • /lib64: 64비트용 리눅스(x86_64)를 설치하는 경우 에 생성되는 라이브러리 관련 디렉터리다.

  • mnt : CD-ROM, 플로피 디스크, 하드 디스크,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등을 마운트할 때 포인터가 되는 디렉터리다. 최근에는 마운트할 장치가 늘어나면서 /media, /net등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.
  • /opt : 응용 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디렉터리다.
  • /proc :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의 상태, 정보, 하드웨어 정보, 기타 시스템 정보 등을 담고 있다.
  • /root : 시스템 관리자인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다.
  • /sbin : ‘System Binary’의 약자로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다. 보통 슈퍼유저인 root가 사용된다. 시스템 종료 명령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명령, 시스템 점검과 복구 등의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.
  • /tmp : 임시 저장 디렉터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소켓 파일, 프로세스 작업을 할 떄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.
  • /usr :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명령, 응용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다. 리눅스 서버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아파치나 mysql, php 등이 모두 이 디렉터리 하위 디렉터리에 설치된다.
  • /var : 시스템 운영의 로그(Log) 파일과 스풀링과 같은 가변적인 데이터를 보관하는 디렉터리다.
  • /media : 이동식 장치인 cdrom, floppy 등을 마운트 하기 위해 제공되는 디렉터리 원래는 /mnt를 이용했으나 2.6커넗 기반인 RHEL 4부터 추가로 이 디렉터리를 제공하여 사용한다.
  • /srv : RHEL 4 부터 등장한 디렉터리로 사이트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. FTP, WWW, CVS 등과 같은 서비스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.
  • /sys : 2.6커널에서 사용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인 sysfs에서 사용하는 디렉터리로 USB처럼 hot plug 하드웨어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렉터리다. /proc 디렉터리에서 기본적인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하나 이 디렉터리에서는 계층적인 구조로 정보를 제공한다.
  • /run : 부팅 이후에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런타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로 CentOS 7 버전부터 등장한다. RHEL 6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었던 /var/run, /var/lock을 합병하였다.

Tags:

Categories:

Updated: